반응형
월급 소득세 계산법, 소득세 과세표준 알아보기
직장인이라면 매달 월급 명세서에서 ‘소득세’ 항목을 한 번쯤은 유심히 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소득세 기준이 정확히 무엇인지, 소득세 과세표준과 소득세 과세구간이 어떻게 나뉘는지, 그리고 실제 월급 소득세 계산법은 어떻게 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득세 기준 금액, 소득세 기준 월급, 소득세 기준 연봉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해하기 쉽게 계산 방법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 소득세 과세표준, 소득세 기준이란?
소득세 기준이란 개인이 벌어들인 소득에서 비과세 항목과 각종 공제를 뺀 후, 세금을 매길 수 있는 금액,
즉 과세표준을 말합니다.
소득세 기준 금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고, 최종 세금액도 달라집니다.
📊 2025년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
과세표준 금액 구간 | 세율 | 누진공제 |
1,400만 원 이하 | 6% | 0원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 15% | 84만 원 |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 | 624만 원 |
8,800만 원 초과 ~ 1억5,000만 원 이하 | 35% | 1,536만 원 |
1억5,000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 38% | 3,706만 원 |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 40% | 9,406만 원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 42% | 1억 7,406만 원 |
10억 원 초과 | 45% | 3억 8,406만 원 |
위 표의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을 기준으로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산출 공식: 산출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월급 소득세 계산법
월급 소득세 계산법은 다음 순서로 진행됩니다.
예시: 종합소득세 과세표준이 2,000만 원인 경우
해당 구간: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계산: 산출세액 = 84만 원 + (2,000만 원 – 1,400만 원) × 15%
= 84만 원 + 600만 원 × 0.15
= 84만 원 + 90만 원
= 174만 원
즉, 소득세 기준 연봉에서 공제를 반영한 후 과세표준이 2,000만 원이라면 약 174만 원의 소득세가 산출됩니다.
💡 소득세 계산 시 유의사항
- 소득세 기준 월과 소득세 기준 연봉은 다릅니다. 월급은 연 소득을 12개월로 나눈 값이지만, 세율은 연 소득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실제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세금은 지방소득세(소득세의 10%)가 추가됩니다.
-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은 매년 변경될 수 있으니, 최신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 정리
- 소득세 기준 월급과 소득세 기준 연봉은 공제 전 금액이 아니라, 각종 공제를 뺀 과세표준 기준입니다.
- 월급 소득세 구간은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과 누진공제를 숙지하면, 급여 명세서의 소득세 항목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소득세 계산은 복잡해 보이지만, 소득세 기준과 소득세 과세표준 구간만 이해하면 훨씬 간단해집니다.
이번 내용을 참고해 자신의 월급 소득세 계산법을 직접 확인하고, 매년 변경되는 세율과 공제 항목을 꾸준히 체크해 보세요.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줄이고 재무 계획을 탄탄하게 세울 수 있으며, 연말정산 시 소득세 예측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업무비법 > 실무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재해조사표 제출방법 알아보기 (2) | 2025.08.12 |
---|---|
외국인 근로자 E-7 비자 연장 서류 알아보기 (1) | 2025.07.12 |
프리랜서 원천징수 환급 알아보기 (0) | 2025.05.16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알아보기 (2) | 2025.05.15 |
고용유지지원금 알아보기 (0) | 2025.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