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비법/실무 가이드

상시근로자수란? 상시근로자수 계산 방법, 대표 포함 여부는?

비법요정 2025. 2. 13.
728x90

상시근로자수란? 상시근로자수 계산 방법, 대표 포함 여부는?

사업장에서 적용받는 노동법, 4대 보험, 세제 혜택 등을 파악하기 위해 상시근로자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상시근로자수의 개념, 계산 방법 및 대표자가 포함되는지 여부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상시근로자수란?

상시근로자수란 특정 사업장에서 일정 기간 동안 계속적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근로자의 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사업장 규모 및 법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상시근로자수는 근로기준법, 고용보험법, 산업재해보상보험법, 국민연금법 등 여러 법령에서 사업장의 의무 및 혜택 적용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 상시근로자수 계산 방법

상시근로자수는 법 적용을 위해 산정기준일 이전 1개월 동안 사업장에서 일한 근로자의 일 평균 인원을 기준으로 합니다. 산정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정 기준 기간:

적용 시점 이전 1개월간의 일용직 및 정규직 근무일수 합산.
해당 기간 동안 가동일수 기준으로 근로자를 산정.


✔️ 계산 방식:

[총 근로자 근무일수 ÷ 해당 기간의 가동일 수]
예시: 10명의 직원이 매일 근무한 경우 → (10명 x 30일) ÷ 30일 = 10명

 

✔️ 포함 대상:
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근로자 포함.
출산휴가, 육아휴직, 질병 휴직 중인 근로자는 제외.
대표자는 상시근로자수에 포함되지 않음. (단, 4대 보험 사업장 가입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3. 상시근로자수 확인 자료

상시근로자수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 건강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건강보험공단에서 발급 가능하며, 대표자를 포함한 가입자 현황 확인 가능.
  • 고용보험 EDI 시스템:사업장의 고용보험 상시근로자수를 실시간 조회할 수 있음.
  • 국민연금 가입자 명부:사업장 기준의 국민연금 가입자 수를 확인 가능.
  • 임금대장 및 출근부:실제 근로자의 근로 일수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상시근로자수 확인 시 필수 제출 서류.

4. 상시근로자수 관련 주의사항

  • 산정 기준 적용: 상시근로자수가 법적 기준(5인 이상 사업장)에 해당될 경우 근로기준법의 적용 범위가 달라짐.
  • 산정 오류 주의: 상시근로자수 오산정 시 4대보험료 부과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계산 필요.
  • 대표자 포함 여부: 대표이사는 원칙적으로 상시근로자수에 포함되지 않지만, 근로자로 인정되는 조건하에 포함 가능.

마무리

상시근로자수는 사업장의 법적 의무와 각종 지원 혜택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므로 정확한 산정이 필요합니다. 특히, 근로기준법 적용 여부 및 4대 보험 부담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확인해야 합니다. 사업 운영 중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거나 관련 기관의 상담을 이용해 보세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문의해 주세요!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