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비법/실무 가이드

소방안전관리자 2급 응시자격? 소방안전관리자 선임기준, 교육까지 알아보기

비법요정 2025. 1. 30.
728x90

소방안전관리자 2급 응시자격? 소방안전관리자 선임기준, 교육까지 알아보기

소방안전관리자는 건물의 화재 예방과 안전 관리를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공인 자격입니다.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이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으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 2급 응시자격, 선임기준, 교육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소방안전관리자란?

소방안전관리자는 특정 소방대상물에서 화재 예방과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직무를 수행합니다. 건물의 규모와 용도에 따라 1급, 2급, 특급으로 구분되며, 소방설비 점검과 소방계획 수립, 안전교육 실시 등의 업무를 맡습니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주요 업무

소방시설 점검 및 유지 관리
소방훈련 및 안전교육 진행
자위소방대 조직 및 운영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 및 대피 안내


2. 소방안전관리자 2급 응시자격

소방안전관리자 2급은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서 요구되며, 응시 자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응시자격 요건

 

학력 요건:
소방안전 관련 과목 6학점 이상 이수한 대학 졸업자
소방안전관리학과, 소방공학과, 건축공학과 등 관련 전공자

 

경력 요건:
소방본부·소방서에서 1년 이상 실무 경력 보유
의용소방대원으로 3년 이상 근무
군 소방대원으로 1년 이상 복무 경력 보유

 

기타 자격:
3급 소방안전관리자로 2년 이상 근무 경력 보유
관련 자격증(위험물기능사, 건축기사 등) 소지자


3. 소방안전관리자 2급 선임 기준과 소방안전관리자 교육 과정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하는 대상 건물은 소방시설법에 따라 구분됩니다. 

2급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소방안전관리자 2급 선임 대상 건물
연면적 5,000㎡ 이상 15,000㎡ 미만의 특정소방대상물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등이 설치된 건물
근린생활시설, 숙박시설, 복합건축물 등 일정 규모 이상 건물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되기 위해서는 필수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교육은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진행되며, 과정 이수 후 시험 합격이 필요합니다.

 

✔️교육 과정
교육 방법: 온라인 교육 + 실습 교육
교육 내용: 소방 관계법령, 소방시설의 이해, 비상대응 절차 등
교육 시간: 총 40시간 (5일 과정)

 

✔️교육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한국소방안전원 홈페이지에서 접수
방문 신청: 해당 지역의 소방안전교육기관 방문 후 접수


4.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신고 방법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되면 해당 건물의 관할 소방서에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를 하지 않으면 최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신고 방법
온라인 신고: 소방청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 신고
방문 신고: 관할 소방서 직접 방문
팩스 접수: 신고서 및 자격증 사본 제출 후 확인

 

✔️ 제출 서류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신고서
자격증 사본
사업자등록증 사본


마무리

소방안전관리자는 건물의 화재 안전을 책임지는 필수 인력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서는 반드시 선임해야 합니다. 소방안전관리자 2급을 취득하려면 응시자격을 확인하고 교육을 이수한 후 시험에 합격해야 하며, 선임 신고까지 완료해야 합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