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비법/법정의무교육 관련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 의무일까?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 알아보기

비법요정 2025. 2. 25.
728x90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 의무일까?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 알아보기

직장 내 괴롭힘은 근로자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해칠 수 있으며, 직장 내 근무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사업장에서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의 의무 여부, 교육 방법 및 미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이란?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은 근로기준법 제76조의 2에 따라 사업주가 직장 내 괴롭힘을 예방하고 건전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시해야 하는 교육입니다. 직장 내 지위 또는 관계 등을 이용해 타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는 행위를 방지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 관련 법령: 근로기준법 제76조의 2
  • 대상: 모든 근로자 및 사용자
  • 교육 주기: 연 1회 이상, 1시간 이상

2.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 의무 여부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은 법적으로 의무 사항은 아니며, 이를 실시하지 않았다고 해서 사업주에게 별도의 과태료가 부과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고용노동부의 취업 규칙 지침에 따라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을 위한 교육자료를 게시하거나 배포하고, 이를 근로자가 숙지하였음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직장 내 괴롭힘이 발생했을 때 사용자가 적절한 조사 및 피해자 보호 조치를 시행하지 않을 경우,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교육을 자율적으로 시행하고 예방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 방법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교육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온라인 교육:고용노동부의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 포털에서 무료 강의 제공
  • 집합 교육:외부 강사를 초빙해 사업장 내 전 직원 대상 교육 진행
  • 간이 교육: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교육 자료를 배포 후 확인서를 받는 방식으로 진행 가능

4. 직장내 괴롭힘 예방교육 미이행 시 불이익

직장 내 괴롭힘 예방교육 자체는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므로 교육을 실시하지 않더라도 별도의 과태료나 법적 제재는 없습니다. 그러나 사업주는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을 위해 교육자료를 게시하거나 배포하고, 이를 근로자가 숙지하도록 조치해야 하며, 이를 소홀히 할 경우 예방의무를 다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적절한 조사 및 보호 조치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한 교육을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교육을 통해 근로자들이 직장 내 괴롭힘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직장 내 괴롭힘 예방은 건강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법적으로 예방교육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조직 내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문제 발생 시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대비할 수 있습니다. 사업주는 근로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거나 추가 정보가 필요하시면 댓글로 문의해 주세요!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