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비법/근로·노무 관련

식대 비과세 알아보기

비법요정 2025. 4. 21.
반응형

식대 비과세 알아보기

사업장에서 급여를 설계할 때 식대 비과세 항목은 세금 부담을 줄이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2023년부터 식대 비과세 한도가 변경되었고, 관련 내용은 급여명세서 작성이나 회계 실무에서도 자주 등장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식대 비과세 20만원 기준, 급여명세서 작성법, 그리고 헷갈리기 쉬운 식대 비과세 조건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식대 비과세 뜻과 적용 기준

식대 비과세란?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식대 중 일정 금액까지 소득세를 면제해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이는 급여의 실수령액을 높이는 효과가 있어, 많은 회사에서 식대 항목을 급여명세서에 명시하고 있죠.

 

  • 식대 비과세 기준: 매월 20만 원 이하
  • 식대 비과세 조건: 급여명세서에 ‘식대(비과세)’로 명확히 기재되어 있어야 함
  • 지급 방식: 현금 지급 또는 구내식당 등 현물 제공 모두 가능

즉, 식대 비과세 20만원 한도 내에서 지급되면 근로소득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식대 비과세 10만원? 20만원? 혼란은 이제 그만!

과거에는 식대 비과세 10만원이 기준이었지만,
2023년 1월부터는 식대 비과세 20만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일부 회사나 문서에서는 기준 변경 이전 내용을 따르는 경우도 있으니, 반드시 최신 기준(20만원)을 확인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또한, 최근 일부 근로자 사이에서는 식대 비과세 30만원이라는 잘못된 정보가 돌기도 합니다.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비과세 금액은 월 20만 원 한도입니다.


✅ 식대 비과세 금액이 중요한 이유

식대 비과세 금액을 정확히 설정하면, 근로자는 세금 부담을 줄이고, 사업주는 비용 처리를 더 유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대는 근로자의 복리후생과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급여체계 설계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합니다.
식대 비과세 기준을 무시한 급여 설계는 세무조사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으니 꼭 주의하세요!


✅ 마무리

식대 비과세는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유리한 제도입니다.
식대 비과세 한도는 20만원, 이를 초과하면 과세 대상이 되는 만큼 급여명세서 작성 시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식대 비과세 뜻부터 급여명세서 작성까지 꼼꼼하게 확인해보고, 잘못된 정보로 인한 혼란 없이 똑똑하게 적용해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