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비법/근로·노무 관련

평균임금이란?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알아보기!

비법요정 2025. 4. 16.
728x90

평균임금이란?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알아보기!

급여 정산이나 퇴직금 계산, 실업급여 산정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평균임금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를 헷갈려 하시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평균임금이란 무엇인지, 평균임금 계산 방법, 평균임금 계산기 활용법,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평균임금이란?

평균임금이란,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임금 관련 지급 기준으로, 퇴직금이나 휴업수당, 실업급여 산정 등에 사용됩니다.
정확하게는, 근로자의 퇴직 등 사유가 발생한 날 이전 3개월간 받은 임금총액을 그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 퇴직금 정산 시 중요한 기준이 되는 만큼, 평균임금 계산은 정확해야 하며, 실수 시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특히 이직확인서 평균임금 기재 항목은 실업급여 평균임금과도 연결되어 민감한 정보입니다.


평균임금 계산 방법은?

평균임금 산정방법은 아래와 같이 단순하지만, 항목 포함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평균임금 계산 = (퇴직 전 3개월 총임금) ÷ (해당 3개월 총 일수)

 

여기서 임금에는 기본급, 고정수당, 정기상여금 등이 포함되고, 실비 변상적 수당, 일시적 보너스 등은 제외됩니다.

이런 계산이 복잡할 경우 평균임금 계산기를 활용하면 오류 없이 빠르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

많은 분들이 평균임금 통상임금을 혼용하지만, 정확히는 목적이 다릅니다.

항목 평균임금 통상임금
정의 퇴직금 등 지급 기준 임금 연장, 야간, 휴일수당 기준 임금
계산 기준 최근 3개월 총임금 ÷ 총일수 정기적·일률적·고정적 임금 기준
포함 항목 상여금 포함 (일부) 상여금, 식대 포함 여부 엄격함
사용 용도 퇴직금, 휴업수당, 실업급여 등 수당 계산, 법정 근로수당 등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는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되고, 회사마다 포함 항목이 다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평균임금이 사용되는 대표 사례

  • 퇴직금 계산: 평균임금이 통상임금보다 높을 경우 평균임금 기준으로 퇴직금 계산
  • 이직확인서 평균임금 작성: 실업급여 신청 시 필수
  • 휴업수당 산정: 휴업으로 인한 보상은 평균임금 기준
  • 산재보상, 해고예고수당 등도 평균임금 기반

 

따라서 평균임금 계산기를 정확히 활용하거나 인사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평균임금이란 퇴직금이나 실업급여 등 다양한 법적 보상에서 기준이 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평균임금과 통상임금의 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실수 없이 권리를 지킬 수 있습니다.

정확한 평균임금 계산과 함께, 평균임금 통상임금의 개념을 헷갈리지 않도록 꼭 숙지해두세요.
필요하다면 평균임금 계산기도 적극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