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비법/실무 가이드

야간근로수당 계산법! 야간수당 시간은?

비법요정 2025. 3. 28.
728x90

야간근로수당 계산법! 야간수당 시간은?

근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야근을 해본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하지만 많은 분들이 야간수당 기준이나 야간근로수당 계산법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한 채 일하고 계십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야간수당 조건, 야간수당 시간, 그리고 야간근로수당 계산법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릴게요!


✅ 야간근로란? 야간수당 시간 기준부터 정리!

먼저 야간근로시간은 법에서 정확히 정해져 있습니다.

야간수당 시간: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까지

 

이 시간 동안 일하는 경우, 야간근로수당이 별도로 지급됩니다.

즉, 야근이더라도 오후 10시 이전이면 야간근로수당 계산에 포함되지 않아요.
또한 야간수당 조건은 일반 근로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야간수당 기준과 야간수당 조건

야간수당 기준은 통상임금의 50%를 추가로 가산해서 지급하는 구조입니다.
이는 법정근로 외 근무이기 때문에, 야간근로수당 계산법에도 가산율이 포함됩니다.

항목 기준
야간근로시간 22:00~ 익일 06:00
가산율 통상시급의 1.5배 (50%가산)
적용조건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모두 적용 가능

📍 단, 연장근로와 야간근로가 중복될 경우, 두 가지 수당을 모두 가산해야 합니다. 이럴 땐 야간수당 계산이 더 복잡해질 수 있죠.


✅ 야간근로수당 계산법 예시

야간근로수당 계산은 아래 공식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통상시급 × 1.5배 × 야간근로시간

 

📌 예시:

통상시급이 10,000원이고, 22:00~01:00까지 3시간 야간근로 시

10,000 × 1.5 × 3 = 45,000원

 

이처럼 야간근로수당 계산법은 단순해 보이지만, 기본시급 기준이 잘못되면 전체 급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야간근로수당 계산 시 복리후생비, 고정 수당이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 여부도 중요해요.


✅실무자가 꼭 알아야할 야간근로수당  팁

▪️심야수당 시간은 고정되어 있음: 22시~06시
▪️ 야간수당 계산은 연장근로와 중복되면 가산 가산!
▪️ 급여명세서에 야간수당 별도 표기 필요


✔️ 마무리

야간근로수당 계산법은 정확히 알아야 정당한 수당을 받을 수 있는 기본 지식입니다.
야간수당 기준, 야간수당 시간, 그리고 야간수당 조건을 제대로 이해하면, 급여명세서의 어떤 항목이 부족한지 스스로 확인할 수 있어요. 이 포스팅이 여러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728x90

댓글